Daily/Culture

주한 스위스대사관 전시 [SOIL]

쪼꼬열매 2025. 6. 11. 12:32
300x250

주한 스위스대사관

지난 4월, 주한 스위스 대사관에서 오랜만에 전시회가 열렸어요. 2022년에 첫 방문시 공간이 참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새학기에 적응하며 바쁜 와중 부지런히 다녀왔어요.

Back in April, the Swiss Embassy in Seoul held an exhibition. I remembered how much I liked the space when I first visited in 2022, so even with a busy new semester, I made time to stop by.

살고 싶은 경희궁 자이

마음이 조금 심란하던 시기라, 잠깐이라도 문화생활을 즐기면 기분이 나아질까 싶었어요. 마침 벚꽃이 활짝 핀 때라, 전시 보러 가는 길도 참 예뻤고요. 참고로, 주한 스위스대사관 건물은 2019년에 한국건축문화대상(일반건축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고 해요. 그만큼 건축적으로도 의미 있는 공간이에요.
At the time, my mind felt a little unsettled, so I hoped a quiet cultural outing might lift my spirits. The cherry blossoms were at their peak, and the walk to the embassy felt peaceful and comforting.

2019 한국 건축 문화 대상

스위스대사관 건물은 전통 한옥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스위스 한옥’ 양식으로 잘 알려져 있어요. 한옥의 구조와 스위스의 친환경 건축 철학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에요. 마당을 중심으로 한 배치지열과 태양광 시스템온돌 바닥 등이 인상적이고, 외교 공간이면서 동시에 문화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어요.
The Swiss Embassy building is well known for its unique “Swiss Hanok” style —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Hanok architecture. It beautifully blends Hanok elements with Switzerland’s eco-friendly building philosophy. The layout centers around a courtyard, with features like geothermal and solar energy systems, and even traditional Korean ondol (heated floors). It serves not only as a diplomatic space but also as a cultural venue.

전시 입구

SOIL 전시는 사전에 온라인으로 예약 후 방문할 수 있었어요. 예약 링크는 eventbrite 이라는 사이트로 인스타그램에 링크가 올라왔고, 무료전시였어요. 예약 후 받은 QR 코드를 현장에서 직원에게 확인 받을 후 입장할 수 있었습니다.

The SOIL exhibition was available to visit by making an online reservation in advance. The booking link was shared on Instagram and directed to Eventbrite, and the exhibition was free of charge. After reserving, I showed the QR code I received to the staff at the entrance to get in.

이번 전시는 전시 제목처럼 ‘우리가 살아가게 하는 땅(SOIL)’을 주제로, 스위스 출판사 Echtzeit에서 나온『정관 스님, 나의 음식』이라는 책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어요. 한국 사찰 음식과 토양, 자연의 순환 이야기를 사진과 설치 미술로 차분하게 풀어냈더라고요.

The SOIL exhibition focused on the land that sustains us. Based on the book Jeongkwan Snim – Korean Temple Cuisine by Swiss publisher Echtzeit, it explored Korean temple food, soil, and nature’s cycle through photos and installations.


300x250

전시 공간은 크게 두 곳 실외와 실내로 나뉘어져 있었어요.

The exhibition space was mainly divided into two areas: outdoor and indoor.

실외 마당 공간에서는 베로니크 회허(Véronique Hoegger) 작가가 촬영한 정관 스님의 템플 푸드 일상 사진이 설치되어, 사계절 속 식재료와 음식의 이야기를 엿볼 수 있었어요.

In the outdoor courtyard, photos by artist Véronique Hoegger capturing Jeongkwan Snim’s daily temple food life were displayed. Through them, you could glimpse stories of seasonal ingredients and dishes throughout the year.

스위스 한옥 야외 중정

(사담이지만, 스위스대사관이 가까운 집으로 이사하는 게 제 꿈이라는…)

실내 전시

실내 전시 공간에는 곡물, 채소, 발효 식품, 그리고 사찰 조리 도구들이 대형 원형 테이블에 진열되어 있어, 음식과 토양의 연결고리를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어요.

Inside the exhibition space, grains, vegetables, fermented foods, and temple cooking tools were displayed on a large round table. This setup allowed visitors to visually experience the connection between food and soil.

아크릴 프레싱 기법

식재료들은 얇게 펼쳐 투명 아크릴판 사이에 눌러 고정된 형태로 전시되어 있었는데, 마치 자연 그대로를 액자에 담아낸 듯한 느낌이었어요. 재료 하나하나의 질감과 색을 아주 섬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어 인상적이었습니다.

The ingredients were pressed thin and sandwiched between transparent acrylic panels, almost like nature itself was framed. It was impressive how you could closely observe the texture and color of each ingredient in such detail.

정관 스님 나의 음식

스위스 작가 후남 셀만이 집필하고 베로니크 회거가 사진으로 담아낸 “정관 스님 나의 음식”이라는 책도 전시되어있었는데요.

The exhibition also featured the book Jeongkwan Snim – Korean Temple Cuisine, written by Swiss author Hunam Selman and photographed by Véronique Hoegger.

몸과 마음을 정갈히 돌보며 살기

주부이다보니, 사찰 음식 레시피들이 눈길이 가고 직접 만들어보고 싶어지더라고요. 이 책의 음식을 먹다보면 절로 건강해질 거 같았습니다.

As a home cook, I naturally found myself drawn to the temple food recipes and felt inspired to try making them myself. I got the sense that eating the dishes from this book would naturally make you healthier.

토마토 장아찌

음식 사진들도 다 먹음직스럽고 차분한 느낌이라, 든든한 집밥 분위기가 느껴졌어요.

The food photos looked tasty and comforting, like a warm home-cooked meal.

전시를 보고 나니, 우리가 매일 먹는 한 끼가 땅과 자연, 시간 위에 쌓여 있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어요. 소박하지만 깊은 여운이 남는 전시였습니다.
The exhibition reminded me that every meal is connected to the land, nature, and time. It was a simple but powerful experience.

728x90
반응형